레이델 HDL 연구원은 폴리코사놀-사탕수수왁스알코올, 비즈왁스알코올, 오존오일, 로열젤리, Jusvinza, Heberprot-P 등의
건강기능식품 원료 및 신약 후보 물질에 대한 기능성과 안전성, 효과를 평가하고 개발합니다.
2022
중년 한국 여성의 장기적인 알코올 소비가 혈청 고밀도 지단백(HDL)-콜레스테롤 및 아포리포단백 A-I의 유의미한 감소와 HDL의 동맥경화성 변화에 미친 영향
Long-Term Alcohol Consumption Caused a Significant Decrease in Serum High-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and Apolipoprotein A-I with the Atherogenic Changes of HDL in Middle-Aged Korean Women
2022
고밀도 지단백(HDL) 및 아포리포단백(Apo) A-I의 구조적 안정성을 저해하고 ApoA-I 및 HDL의 당화 취약성을 악화시키는 인간 혈청 아밀로이드 A
Human Serum Amyloid a Impaired Structural Stability of High-Density Lipoproteins (HDL) and Apolipoprotein (Apo) A-I and Exacerbated Glycation Susceptibility of ApoA-I and HDL
2022
성체 제브라피시와 배아에서 당뇨병 및 고지혈증 조합의 유무에 따른 Heberprot-P®와 Easyef®의 인간 표피 성장 인자(EGF) 효능 비교 연구: 노인 환자 모사
Efficacy Comparison Study of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EGF) between Heberprot-P® and Easyef® in Adult Zebrafish and Embryo under Presence or Absence Combination of Diabetic Condition and Hyperlipidemia to Mimic Elderly Patients
2022
고밀도 지단백(HDL) 연구의 현재 상태: HDL 양에서 HDL 질 및 HDL 기능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high-density lipoproteins (HDL): a paradigm shift from HDL quantity to HDL quality and HDL functionality
2021
α-시누클레인의 포함에 의한 재구성된 고밀도 지단백(HDL)의 구조적 및 기능적 변화: 높은 몰 비율의 α-시누클레인에서 α-시누클레인과 apoA-I의 강력한 항산화 및 항당화 활성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nges of Reconstituted High-Density Lipoprotein (HDL) by Incorporation of α-synuclein: A Potent Antioxidant and Anti-Glycation Activity of α-synuclein and apoA-I in HDL at High Molar Ratio of α-synuclein
2021
오존화 해바라기 오일의 강력한 항균활성으로 HDL의 강력한 환원력 및 항산화로 배아와 세포 생존에 나타나는 보호 효과
Ozonated Sunflower Oil Exerted Protective Effect for Embryo and Cell Survival via Potent Reduction Power and Antioxidant Activity in HDL with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2021
C2C12 근육모세포에서 지질다당류에 의해 유도된 세포자멸사와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를 Akt 및 Erk 경로의 활성화를 통해 예방하는 쿠바산 폴리코사놀
Cuban Policosanol Prevents the Apoptosis and the Mitochondrial Dysfunction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in C2C12 Myoblast via Activation of Akt and Erk Pathways
2021
HDL에서 아포리포단백 A-I 및 A-II 조성의 중요성과 COVID-19 및 SARS-CoV-2 연구에 대한 잠재력
Importance of Apolipoprotein A-I and A-II Composition in HDL and Its Potential for Studying COVID-19 and SARS-CoV-2
2021
재조합 β-아밀로이드42의 포함에 의한 재구성된 고밀도 지단백의 구조적 및 기능적 손상
Structural and Functional Impairments of Reconstituted High-Density Lipoprotein by Incorporation of Recombinant β-Amyloid42
2021
한국 남아 청소년의 사춘기 기간 HDL-C의 급격한 감소와 혈압 상승 및 이상지질혈증의 연관성: 남성이 여성보다 낮은 HDL-C 수치 이유와 시기 설명
Rapid Decrease in HDL-C in the Puberty Period of Boys Associated with an Elevation of Blood Pressure and Dyslipidemia in Korean Teenagers: An Explanation of Why and When Men Have Lower HDL-C Levels Than Women
2021
폴리코사놀의 AMPK 매개 INSIGs 발현을 통한 Pi 유도 석회화 진행 연구: 쥐 혈관 평활근 세포 관찰을 통하여
Policosanol attenuates Pi-induced calcification via AMPK-mediated INSIGs expression in rat VSMCs
2021
높은 파라옥소나제 함유의 자연의 HDL은 코로나19에 강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반면, 당화된 HDL은 항바이러스 활성 손실
Native High-Density Lipoproteins (HDL) with Higher Paraoxonase Exerts a Potent Antiviral Effect against SARS-CoV-2 (COVID-19), While Glycated HDL Lost the Antiviral Activity
2020
2017년 한국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한 혈청 HDL-C 감소와 혈압상승의 연관성
Decrease in Serum HDL-C Level Is Associated with Elevation of Blood Pressure: Correlation Analysi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7
2020
CD9는 세포 노화 유도 및 동맥경화성 플라크 형성 악화
CD9 induces cellular senescence and aggravates atherosclerotic plaque formation
2019
2017년 한국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한 성인의 연령 및 가계 소득과 HDL-C 감소 연관성: 저 HDL-C와 빈곤의 상관 분석
Decrease in HDL-C is Associated with Age and Household Income in Adult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7: Correlation Analysis of Low HDL-C and Poverty.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